[책린이 후기] 프라이싱 전략 이해하기 1편 -전술적인 가격결정

2022. 12. 28. 12:55행복한 책생활

목차
반응형

 

안녕하세요.

책 읽고 행복한 생활 하기입니다.

 

이제까지 책과 거리두기를 39년 하고 있는데 이제 친해지려고 도전해 봅니다.

업무관련된 책을 읽는 것을 시작으로 저도 업그레이드, 블로그도 업그레이드하려 합니다.

그리고 제가 이해력이 좀 낮아 제 수준으로 써봅니다.

 

 

 

플레이싱 전략

토마스 T. 네이글, 존 E 호건, 송기훈 지음

 

왜 가격 결정에 비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가.

'주먹 구구식 가격결정과 전략적 가격 결정의 차이는,

시장상황에 반응을 하느냐 사전에 시장을 관리하느냐의 차이'

프레이싱 전략

-전 여기서 경쟁업체 가 많은 곳에 들어갈 것인가. 아니면 독점할 수 있는 시작에 들어가느냐 이렇게 해석을 해보았습니다.

-경쟁업체가 많은 곳에 들어갈 경우, 고객이 반응하는 가격 때를 알 수 있다는 것.

-독점할 수 있는 시장에 들어갈 경우, 나의 가치를 확실하게 주고 가격 형성을 한다

 

'입장을 회사가 아닌 고객의 입장에서 해야 한다.'

출처 입력

-자신의 마진 보다 고객이 얼마에 사고 싶은지에 대하여 생각하는 게 좋을 거 같다.

'박리다매는 생산 설비를 더 효율적으로 하여 수익 창출을 한다'

출처 입력

- 어차피 움직일 때 1개 할거 5개 해서 효율을 높이는 거다.

- 화장실 간 김에 이빨도 닦고 세수도 하고 면도하는 것처럼

'가격결정은 제품 개발의 초기단계에 예상을 해야 한다'

출처 입력

- 제품의 가치를 예상을 먼저 해보는 게 어떨지 생각해 본다.

 

'재무란 비용을 커버하는 게 아니라 수익성을 향상하는 것이다'

출처 입력

- 어느 회사나 개인을 보면 재무 관리 할 때 메꾸기, 돌려 막기 이렇게 하는 거 같다. 나도 또한,

- 수익성을 향상 시키기 우해 재무를 관리 해야한다. 나부터!!

'비용을 커버하는 것에 초점을 두지 말고 '수익성을 향상 시키는것에 초첨을 두어라

출처 입력

- 판매 목표량 달성에만 급급해하지 말고 수익성을 염두에 두면서 활동

- 수익성을 염두에 두고 활동할 수 있도록 적절한 인센티브와 가이드라인을 주는 방법

- 코 앞에 있는 것으로 해결하려 하지 말고 꾸준히 수익을 볼 상황을 만들어야 한다.

- 그러기 위해 보상이 필요하여 원동력을 주어야 한다.

 


2. 비용 + 마진

프레이싱 전략

고정비용이 높은 사업일 수로 전반적인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.

프레이싱전략

- 원가가 높은 음식은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이 든다.

단! 제품의 가치를 판단하지 못할 경우, 가격형성이 낮게 형성되어 있는 곳에서는 영향이 크다고 생각이 든다.

 

판매량은 가격 수준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. 는 말도 안 된다.

프레이싱 전략

-이 가격으로 하면 팔리겠지., 누구는 이러게해서 대박이 나서 이가격으로 해야 돼!

이런 생각이 문제가 된다고 생각이 든다.

 

-난 이많큼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가격을 이 정도로 책정하는 게 좋을 거 같다 라는 출발점에서

생각해보는 것도 좋을 듯

 

비용+마진의 접근 방식으로 가격결정 했다가는 망한다.

출처 입력

-운영하다 보면 비용과 마진을 생각 안 할 수는 없다. 하지만 무조건 비용과 마진을 따지고 진행하기보다는

어떻게 홍보하고 나의 제품의 가치를 전달할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.

 

-음식점 경우 : 음식가격, 배달료, 인건비

-회사의 경우 : 인건비, 판매가격, 수익금,

 

경쟁력 있는 제품은 가격을 낮게, 경쟁력이 없는데 높게

출처 입력

-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. 자신의 제품에 경쟁력 확인 안 하고, 저기 업체가 올렸으니 나도 올리는 방식,

 

- 경쟁력이 비교가 안되는데 판매형성 대분류 카테고리가격이 낮다고 낮게 판매하는 방식

 

자신의 경쟁력은 확실하게 어필하여 가격이 높아도 가치를 알고 구매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.

 

판매량->단위당 비용 -> 목표 수익계산 -> 가격

프레이싱 전략

-판매 량을 생각을 안 하고 가격부터 한다면 손익분기, 수익 계산 시 문제가 된다.

그러므로 목표 수량, 목표 매출을 먼저 잡아 보는 것이 좋을 거 같다.

 

할인을 하는 이유

출처 입력

-개인적인 생각은 고객의 저항으로 판매량이 늘지 않아서 하는 경우가 있다.

 

-초반 유입을 이용해서 할인을 하게 된다면, 추후에 올 때 할인이 안된다며 구매 저항이 생길 수 있다.

 

- 한번, 두 번 할인을 받게 되면 이 회사, 이 사이트는 정가에 사지 말고 할인하면 사야지 라는 고객들은

생각할 수가 있다.

 

-할인 만이 정답은 아닐 수 있다.

 

고객이 생각하는 가격, 경쟁사들의 가격

출처 입력

-물건은 고객이 사는 것이다. 고객의 입장에서 가격을 , 경쟁사들의 가격을 알아보는 게 좋다고 생각이 든다.

- 그 가격은 제품의 가치, 회사의 가치, 브랜드의 가치이다.

 

 

여기 가지 읽으면서 나의 가치를 가격으로는 어떻게 되는가가 중요할 거 같다.

현실을 생각하니 작아져 버린다.

 

 

반응형
맨 위로